[평화기행] 평화를 되찾자: 용산미군기지 투쟁

캡처-6.png

글: 케이시 정(투어 참가자) 
번역: 황정은(사무국장, ISC)

나의 아버지 가족은 11살 때 한국에서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20살이 된 지금 나는 처음 한국으로 여행을 왔다. 여행은 별로 어렵지 않았다. 한국어를 조금밖에 모르지만 많은 사람들이 영어를 충분히 잘 했고 내가 잘 지낼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서울에 가족은 없었지만 가족의 친구들과 함께 지낼 수 있어서 아주 편안했고 낯설지 않았다. 그 친구들은 용산미군기지 담벼락 안에 살고 있다. 용산미군기지는 달러로 미국 간식을 살 수 있는 세 개의 매장도 있는 서울 안에 있는 또 다른 작은 마을과 같다. 서울에 온지 3일째 되는 날, 국제전략센터가 주최한 용산미군기지 담벼락 투어에 참가했다. 재미동포이자 미국 시민으로, 용산미군기지를 다르게 볼 수 있는 경험이었다. 이러한 생생한 경험은 내가 이 글을 쓸 수 있도록 말과 행동으로 나에게 감동을 준 한국인들의 경험과는 많이 다르다. 이번 기행으로 용산미군기지가 서울에 남아있는 미제국주의의 잔재임을 알 수 있었고 이번 기행을 통해서 보고 느낀것을 나누고자 한다.

투어를 시작할 때만 해도 용산미군기지의 역사가 일제 식민지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전혀 알지 못했다. 현재 용산 미군기지 부지는 1945년까지 일제가 군기지로 사용했던 곳이며 일본이 항복 한 후,  미군정이 들어서 한국을 점령하면서 미군기지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용사미군기지에는 한미연합사령부가 있다. 용산미군기지 이전은 10년전에 계획된 것이지만 아직도 기지 부지는 한국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용산미군기지 담벼락 투어는 이태원 부군당에서 용산미군기지를 내려다보며 시작했고, 용산미군기지의 국립공원 조성 특별법이 통과되었다는 설명을 들었다. 용산미군기지는 단순히 부지가 아니라 발굴하고자 하는 역사적 유물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한국 국민은 100년동안 기지 안에 마음대로 들어갈 수 없었다. 서울에 대대로 살아온 가족들, 심지어 나이가 많은 할아버지 할머니들도 용산미군기지 내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지 못한다. 용산미군기지를 잘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용산미군기지는 서울의 한강 북쪽 지역에 위치해있으며, 서울 중심 지역 한복판에 엄청나게 큰 면적을 차지하면서 도시를 반으로 가르고 있다.  당신이 살고 있는 도시 중앙에 식민지 개척자가 그들의 군인과 관료가 지낼 수 있도록 철조망을 친 담벼락을 세우고 유지해왔다면 주변지역에 길게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한국 국민은 어떤 방식으로도 그 땅을 사용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심지어 기지 외부에 건설을 계획할 때도 군기지 내의 미군과 대사관의 공무, 그리고 주거지역과 여가 활동까지 비밀 유지 때문에 영향이 많이 받는다. 예를 들어 한때 미군기지 골프장이었던 부지 위로 동작대교 북단을 건설하려고 계획했지만 결국 도로는 두 갈래로 나눠져 방향을 바꿔야 했다. 시민들이 대교를 이용하면서 미군 기지 안을 들여다 보지 못하도록 하려 했으며, 서울에서 가장 땅값이 비하고 인구가 밀집한 지역인 용산에서 엄청난 부지를 넓게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사람들이 알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담벼락 투어 내내 “집은 어떻게 생겼나요?”나 “기지 안에서는 무엇을 할 수 있나요?”와 같은 질문은 관심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한국 국민에게 기지 안의 모든 것이 얼마나 차단되어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담벼락 투어에서 반복해서 나왔는 내용 중 하나는 한국은 수십년 동안 같은 질문에 답을 요구했지만 항상  정보가 부족했다는 것이다. 우리는 미군 기지 내의 환경 문제와 책임을 져야할 당사자인 미국이 아니라 한국이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맡았다는 점을 자세하게 들을 수 있었다. 우리는 집수정 앞에서 2001년 용산 미군기지의 기름 유출 사건의 전모를 들을 수 있었다. 사건 당시 처음에 미군은 부정했지만 기름에서 기지 내에서만 사용하는 항공유 성분인 JP-8이 검출되자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미군은 기름 유출 문제는 해결했다고 주장하지만 지금도 집수정에서는 기름이 검출되고 있다.

용산 미군 기지에는 많은 환경문제가 있다. 시민단체가 미국의 정보자유법을 이용해 미군기지 내에서 약 100건의 환경 오염 사고가 있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미군 기지 내의 영안실이 보이는 곳에 서서 우리는 한 군의관이 농축된 포름알데하이드 480병을 버렸고 이곳 배수구는 한강에 연결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들었다. 유독물질을 부주의하게 처리한 미국 측은 한국 환경 단체가 이 문제를 알리고 실제로 유일하게 기소한 사건으로 만들 때까지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았다.   

투어의 마지막 코스는 용산미군기지의 남쪽을 내려다 볼 수 있는 국립중앙박물관이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도착한 우리는 용산미군기지 내에서 2009년부터 2014년까지 탄저균 실험이 있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분명히 탄저균 실험은 보통 사람이 없는 사막에서 하는 것이지 서울처럼 인구밀집도가 높은 지역 한복판의 낡은 시설에서 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하지만 또다시 이 문제는 한국 국민이 나서서 파헤친 사실이며 아직도 공식적으로 조사가 행해지지 않았고 책임이 있는 당사자들이 공개적으로 논의하지도 않았다. 지금까지 언급한 몇가지 사건은 조사가 필요한 사건 중 일부일 뿐이며 공원으로 조성될 미군 기지 부지의 안정성을 위해 반드시 조사가 필요하다. 용산미군기지온전히되찾기주민모임이 가장 우선시 하는 요구사항은 미국이 저지른 환경 오염 사고를 철저하게 조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요구사항은 미군이 저지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반드시 관철시켜야 하며 책임은 미국 정부가 져야 한다. 주민모임의 또 다른 요구사항은 드래곤힐 호텔(미군만이 이용할 수 있는 호텔)과 미군 헬기장처럼 남아있는 시설을 철거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민모임과 다른 시민단체가 요구하는 것은 용산미군기지 부지의 북쪽에 지어질 미군 대사관 건축 계획을 철회하는 것이다.

용산미군기지가 국립공원으로 조성되면 2008년부터 오랫동안 연기된 계획이 마무리되는 것이며, 이 때 한국 국민은 그저 부지만을 돌려받는 것이 아니라 평화도 돌려받아야 한다. 내가 서 있는 곳에서 보면, 이 모든 것은, 특히 과도하게 단순화되어 전 세계에 알려진 한국 전쟁 이야기를 고려할 때, 18세기 미국이 가지기 시작한 억압적인 백인 구세주 콤플렉스를 반영한다. 미군 기지 내에서 일어난 환경 오염 사고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미국에게 책임을 묻기 위해 공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호텔, 헬기장, 그리고 대사관 건물도 철거하거나 국립공원 밖으로 이전해야 한다. 그 어떤 나라도 미국의 국립공원 내에 군기지나 헬기장을 세우지 않았다. 미국 국립공원 어디에도 외국 대사관은 없다. 설사 그렇다면 ‘비미국적’이지 않은가? 그렇지만 한번도 정당하게 미국 것이 아닌 땅에 계속 무언가를 짓는 것보다 더 미국적인 것이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