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Korea]‘위안부’ 담론에 대하여
최근 국제전략센터에서 한홍구 교수님을 모시고 강연을 진행했다. 강의 제목은 “‘위안부’와 한일관계” 였다. 일본 제국주의와 '위안부'가 한국사에 있어 가장 어두운 그림자이기에 바로 그 제목은 논쟁을 시사했다. '위안부'는 전쟁 기간 동안 정부에 의해서 조직되고 통제되었다. 그 목적은 군사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것과 성병 전염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이처럼 '위안부' 조직화에 대한 요약 설명을 듣자니 그 자체로도 매우 불편했지만 보다 구체적이고 분명한 사건들에 대해 알기 위해 좀 더 살펴보고 질문해보았다: 여기에 연루된 정부들은 어떤 것들이 있었나? 끌려간 여성들은 누구였는가? 그들이 고통 받고 짊어지게 된 트라우마는 어떤 것이 있는가? 언제 '위안부' 제도를 만들었으며 언제 끝났는가? 우리가 이 문제를 이해한 바와 같을 현재 위안부 문제에 대한 담론이 어떤 형태를 띠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위안부 희생자들에게 사과하기 위한 어떠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는가, 그리고 '위안부'가 다시 일어나지 않기 위해 어떻게 설득되고 있는가? 특히, '위안부' 문제는 즉 일본 제국주의 정부에 의해 '위안부'로 끌려갔던 최초의 여성들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그러므로 이번 강연의 제목의 절반이 “일본 제국군에 의한 '위안부'”인 것이다.) 내가 느낀 것은 위안부문제에 대해 논의하기란 매우 어렵다는 것이었다. 위안부에 대한 대부분의 담론이 일본 정부의 책임 요구에 대한 것인 반면에 또한 이러한 논의는 한국 사회 내의 분열을 무심코 드러내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만약 우리가 '위안부'가 한국 역사에 있어 어두운 그림자라는 것을 이해한다면, 이는 또한 그 역사 속 그림자의 어두운 정도가 항상 역사가 현대 문화 정체성과 정치적 관계에 스며들고 남은 정도를 나타낸다고 생각하는 것은 적절할 것이다. 만약 한국 사람들이 더 이상 이 문제에 대해 관여치 않는다면 그 그림자는 잊혀질 것이다.
한가지 균열이 있는데, 그것은 일본에 협력했던 한국인에 대한 문제이다. 대부분의 ‘위안부’ 여성들은 한국 내 지방 출신이었다. 그들은 그들의 이웃들로부터 가족들을 부양할 수 있을 “해외에서 돈을 벌 기회”라고 들었다고 한다. 그들의 이웃들이 그들을 '위안부'로 만들려는 것을 눈치채지 못한 채 그 여성들은 ‘위안부’가 되기 위해 군부대로 보내졌다. 후에 ‘위안부’들이 고향으로 돌아왔을 때 그들을 '위안부'로 팔아버렸던 바로 그 이웃들 사이에서 살아야만 했다. 오랜 기간 동안 이 여성들은 그들의 끔찍한 경험에 대해 가족들과 이웃들에게 말하길 꺼렸고 수치스러움에 완전한 침묵 속에서 고통스러워 해왔다. 일본에 협력한 한국인에 대한 이 문제는 또한 일본인들이 패배 후 한반도를 떠난 뒤에도 '위안부'를 지속적으로 제도화시킨 한국 정부 때문에 한국정부와 국민을 갈라놓았다. 한국전과 베트남전과 같은 다른 전쟁들을 거치면서 주둔하게 된 미군들로 성매매업 종사자들은 정부의 허가를 받아 일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일제 정부가 세웠던 것과 똑 같은 이 제도 속에서 한국인들은 분열되었다. 한홍구 교수는 '위안부'를 제도화 한 것은 일본 정부의 잘못이지만 그 잘못을 즉각 바로잡지 않은 것은 한국 정부의 실수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위안부'의 연대표를 보면 위안부 여성의 “몽키하우스” (성병을 가진 여성들이 구금되었던 곳)은 2003년까지 운영되었다고 기록되어있다. 이 충격적일 정도로 최근인 시점은 일본 식민주의가 한국에 드리운 긴 그림자를 보여주고 있다.
‘위안부’ 문제로 야기된 한국 정부와 국민들 사이의 분열은 2015년 12월 한국과 일본이 ‘위안부’ 문제에 있어 “최종적인 해결”을 위한 “불가역적인 협정”을 맺어 드러났다. 아베 총리를 선두로 한 일본 정부는 ‘위안부’ 여성들의 정신적, 신체적 상흔을 치료하기 위한 재정적인 지원을 할 재단을 설립하는 데 동의하고 공식적인 사과를 공표했다. 그에 화답하여 박근혜 대통령을 대표로 한 한국 정부는 서울에 위치한 일본대사관 앞의 위안부 동상을 철거하는데 동의하고 ‘위안부’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여기기로 했다
여기엔 많은 동기가 작용한다. 첫째로 ‘위안부’ 문제는 한일 관계에 있어 가장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방해물로 여겨진다. 미국은 동아시아에 있어 한국과 일본을 전략적 발판으로 본다. 중국과 북한이 큰 위협으로 부상하면서, 미국은 한일과의 동맹을 강화하고 자국을 위해 동아시아의 보다 견고한 안보를 갖추도록 개입하고 압력을 넣었다. 박근혜 대통령은 개인적으로도 친일파의 딸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버리기 위해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 동기가 생겼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상들 중에서 한국 국민들의 관심사와 같은 것은 하나도 없었다. 아주 분명하게, ‘위안부’ 본인들은 협정 자리에서 대변되지 못했다. 다수의 눈에 박근혜 대통령의 배경은 그녀가 ‘위안부’를 대표하기엔 부적격하게 보였다. 더욱이 일본 대사관 앞의 소녀상 철거를 요구하는 협정의 조항은 아베 총리와 일본 정부의 위한 위선적인 것으로 쉽게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당연히 이 모든 것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아주 얕은 일부일 뿐이다. 하지만 어떤 시점에서는 누군가 이렇게 물을 수 있을 것이다. “이 문제가 언제 한국에서 사라질까요?” 만약 몽키하우스가 놀라울 정도로 최근까지 운영되었다면, 모든 '위안부'의 요소들이 여전히, 또는 앞으로도 항상 한국 (또는 다른) 사회 내에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그다지 틀리지 않을 것이다. 지금 조차도, 무수히 많은 한국 역사 속의 유령들이 그림자 속에 존재한다. 일본 제국주의의 유산이 한국 전쟁 이후 휴전으로 현재에도 진행 중인 미군 주둔으로 이어졌다. 그러므로 한국과 동맹국은 어떻게 이와 같은 일이 앞으로 다시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보장할 수 있을까?
내가 생각하는 답은 인정하건대 다소 순진하다. 여러분들은 그것에 대해 말해야 한다. 그것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위안부’ 여성들의 용기가 승리할 것이고 한국인들의 정신이 현재의 분열을 이겨내기 충분할 것이고 마침내 지속되고 묻혀있는 잘못들을 바로 잡을 것이라고 믿어야 한다. 내 대답이 순진하게 들리는 만큼 이는 내 솔직한 마음이다. ‘위안부’ 문제가 부정적인 면에서 나를 놀라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더 인상 깊었던 것은 몇 번이고 계속해서 한국 역사가 보여주는 한국인들의 민족 정체성의 보존과 구축에 대한 깊은 이해와 감사함이었다. 정치적으로 더 복잡해지고 세계화되고 상업적인 시기에 적응하고 있음에도, 한국인들은 공동체의 전통적인 가치와 인정을 여전히 소중히 여기고 있음에 자랑스러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그들의 정신은 그들의 행동에서도 나타난다. 만약 당신이 지금 소녀상을 만나러 간다면 대학생들이 추위를 견뎌내고 학업을 완수하는 와중에도 교대로 그 동상을 지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손글씨로 “할머니 힘내세요! 건강하세요! 항상 행복하세요!”라고 적힌 나비 모양의 종이들이 사방에서 펄럭이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나는 한국 사람들이 만들고 가호를 넣은 이 나비들이 그림자를 부드럽게 만들고 유령들을 달랠 빛을 발하는 정신과 강한 믿음을 낼 것이라고 믿는다.
제니퍼 김(열린강좌 참가자)
번역: 김경민(번역팀, I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