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수엘라 대리대사 인터뷰] “베네수엘라의 진실을 알려달라"

초청 간담회는 현재 가짜 뉴스를 포함해 주류 언론의 왜곡보도로 잘 알려지지 않은 베네수엘라의 상황을 알아보는 자리였다. 언론의 공격, 군사 개입의 위협, 경제 제재 등 통합적인 공격을 받고 있는 베네수엘라의 상황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한 인터뷰로 진행되었다.

Read More
[번역기사]'저항'언론, 베네수엘라 쿠데타 종용 위해 트럼프와 손 잡아

Resistance’ Media Side With Trump to Promote Coup in Venezuela 우리는 특별히 도널드 트럼프에게 맞설 대항 매체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언론은 매 순간 이 위험한 새 대통령이자 군통수권자에게 책임을 묻는 중요한 민주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장담했다. 이는 대중의 정서와도 맞아떨어졌다.

Read More
[독일 좌파당 클라우디아 하이츠 사무총장 화상간담회] 독일 좌파당에 대해서(1부)

독일 좌파당(Die Linke)은 사민당이 저버린 전통적인 사회민주의의 정당의 정치적 역할을 하고자 2007년 6월 창당했으며 현재 독일 연방 의원 총 622석 중 76석을 차지(지지율 약 10%)하고 있다.

Read More
[독일 좌파당 클라우디아 하이츠 사무총장 화상간담회] 독일 좌파당에서 배울 수 있는 교훈은?(2부)

각 선거제도에 장단점이 있듯이, 비례대표제에도 장단점이 있다. 장점은 정당이 주요 후보자와 후보자 리스트의 순서를 결정하기 때문에 정당의 역할을 강화된다는 것이다. 만약 여러분이 직접 선출할 수 있다면 영향력이 아주 높아진다.

Read More
[이탈리아 오성운동 화상간담회] 이탈리아 총선에서 최다 득표한 오성운동의 '착한 포퓰리즘'(1부)

이탈리아의 오성운동은 좌파 포퓰리즘 운동(정부집권을 추구하지만 정당으로 명명되는 것을 거부함)으로, 올해 3월 총선에서 단일 정당 최다 득표율인 32%(상원 32.5%, 하원 32%)를 기록해 우파 포퓰리즘 정당인 동맹당과 연합 정부를 구성했다.

Read More
[이탈리아 오성운동 화상간담회] 오성운동의 정치적 동력은 '시민의 참여'(2부)

이탈리아의 오성운동은 좌파 포퓰리즘 운동(정부집권을 추구하지만 정당으로 명명되는 것을 거부함)으로, 올해 3월 총선에서 단일 정당 최다 득표율인 32%(상원 32.5%, 하원 32%)를 기록해 우파 포퓰리즘 정당인 동맹당과 연합 정부를 구성했다.

Read More
[노동운동 역사기행] 역사를 만나다

최근에 나는 국제전략센터의 노동역사기행에 참여하여 운 좋게도 살아있는 역사를 통해 한국과 서울에 대해 배우고 잘 알게 되었다. 서울로 이사오기 전에 지방 소도시에서 생활했던 탓에 벌집같이 몰려 있는 회색 고층건물이 즐비한 서울에 애착을 갖기가 어려웠다.

Read More
미국 국내 문제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저해되지는 않을 것

2018년 미국 중간선거는 민주당이 하원의 233석을, 공화당이 199석을 차지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아직 3개 선거구 개표결과 미확정) 공화당이 상원에서 1석을 추가해 52석(53석이 될 가능성도 아직 남아 있다)을 확보하면서, 이번 선거를 ‘블루 웨이브(민주당 바람)’라고 부르기도 어렵게 되었다.

Read More
흑인다움: 아프리카 디아스포라의 문화 정체성 탐구

흑인다움(Blackness)은 무엇인가? 모든 흑인은 똑같은가? 블랙라이브즈매터(#BlackLivesMatter, BLM)가 한창인 시기, 흑인 운동선수가 흑인 사망 사건에 항의하자 일자리를 잃게 되고 미국 대통령은 유명한 흑인을 ‘하층민’, ‘무식자’라고 언급하는 이 때, 이러한 질문을 하는 것은 타당하다.

Read More
[통일 기행] 서울에서 평양까지

작년 9월3일, 북한에서 소규모 지진이 발생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 지진은 북한 핵실험의 성공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여겨졌다.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그 유명한 “화염과 분노”를 운운하며 김정은 위원장이 미국을 도발하는 것에 대해 경고를 날렸다.

Read More
[전문번역] 숫자로 본 68혁명 이후의 프랑스 ③ - 노동계에 일어난 변화

1968년은 전쟁 직후에 시작된 경제적 번영기인 ‘영광의 30년’에 포함된 해이다. 이 시기에 경제 성장률은 최고치를 경신했다. 1968년에 국내총생산은 4.5% 상승했고, 1969년에는 7.1%까지 이르렀다.

Read More
제주도의 예멘 난민: 예멘의 역사, 한국 대중의 정서, 인권법을 살펴보다

2018년 1월부터 5월까지, 대부분이 미혼 남성인 550여명의 예멘 난민이 관광 목적일 경우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한국의 가장 큰 섬인 제주도에 도착했다. 예멘 난민이 갑자기 나타난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일부 한국인은 일종의 “침략당했다”는….

Read More
베네수엘라의 진실, 투쟁은 계속되고 있다: JTBC도 하지 않은 베네수엘라 팩트체크 2부

시점을 좀 더 이전으로 옮겨보자. 8월 4일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에 대한 암살 시도, 그리고 2017년 제헌의회 선거부터 최근 마두로 대통령이 재선된 대통령 선거로 정점을 찍은 차비스타 정부가 이룬 일련의 선거 승리라는 맥락에서 베네수엘라의 현 시기를 이해하고자 한다.

Read More
베네수엘라의 진실, 투쟁은 계속되고 있다: JTBC도 하지 않은 베네수엘라 팩트체크 1부

자넷 찰스(Jeanette Charles)는 베네수엘라 어낼러시스(Venezuelanalysis)의 국제연대 연락관으로, 2018년 5월에 베네수엘라 어낼러시스와 인터피드 뉴스 펀드(Intrepid News Fund)와 함께 베네수엘라 대통령 선거 참관 대표단을 조직해 베네수엘라를…

Read More
오늘날의 아프리카 이해하기 2부: 식민주의에서 신식민주의에 이르기까지

아프리카를 이해하기 위한 3부작 연재 기획의 두 번째 글을 전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럽의 식민열강이 어떻게 아프리카 대륙을 손에 넣었고, 이 과정에서 아프리카 민중은 어떻게 저항했는지 등을 살펴봅니다.

Read More